상품권 현금화는 여러 방법을 통해 가능하지만 각각의 방법에는 수수료와 위험 부담이 따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안전한 거래를 위해서는 믿을 수 있는 업체를 이용하거나 공식적인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상품권 종류별 현금화 방법
1. 온라인 상품권 (문화상품권, 해피머니 등)
- 전문 매입 업체: 핀타운, 핀베이 등 온라인 전문 매입 업체를 이용하면 상품권의 핀 번호를 입력하고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입금받을 수 있습니다. 24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보통 90~95% 내외의 매입률을 보입니다.
- 간편결제 서비스 전환: 컬쳐랜드 앱에서 충전한 캐시를 페이코 등 다른 간편결제 서비스 포인트로 전환 후 출금할 수 있습니다.
2. 백화점 상품권 (신세계, 롯데, 현대 등)
- SSG페이로 전환 (신세계 상품권): SSG페이 앱에서 지류 상품권이나 모바일 교환권의 핀 번호를 쓱머니로 전환 후 출금할 수 있습니다. 5%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.
- 전문 매입 업체: 우현상품권, 우천사상품권 등 오프라인 전문 매입 업체를 방문하여 현금으로 교환합니다.
- 잔액 환불: 상품권 금액의 60% 이상을 사용한 경우(1만 원 이하는 80%) 백화점 고객센터에서 남은 잔액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온누리상품권
- 은행 방문 환전: 온누리상품권을 취급하는 은행에 방문하여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. 은행별로 환전 가능 시간과 수수료가 다를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4. 개인 간 중고 거래 (온라인 및 직거래)
- 중고 거래 플랫폼: 당근마켓, 중고나라 등에서 개인과 직거래를 통해 상품권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.
상품권 현금화 시 주의사항
- 높은 수수료: 현금화 과정에서 매입 업체나 전환 서비스에 따라 수수료가 발생합니다. 수수료율은 업체별로 다르며 온라인 업체는 보통 5~15% 수준입니다.
- 사기 위험: 개인 간 거래 시 사기 피해가 많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액면가보다 지나치게 저렴하거나 불안정한 방식으로 거래를 유도하는 경우 사기를 의심해야 합니다.
- 개인 간 거래 시에는 판매자의 이력을 확인하고 안전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직거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- 바코드 노출: 온라인에서 상품권 핀 번호를 거래할 때 바코드나 핀 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한 번 사용된 상품권은 재판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.
- 상품권 유형: 기업에서 이벤트나 프로모션으로 제공한 B2B 모바일 상품권은 유효기간이 짧고 현금 환급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약관을 확인해야 합니다.
- 불법 현금화: 신용카드로 상품권을 구매하여 현금화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불법이며 고액의 수수료와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.

이미지 클릭 시, 카카오톡 1:1 오픈채팅으로 이동합니다.